RayWenderlich
-
Ch14. AnimationsRay Wenderlich/SwiftUI 2021. 2. 14. 18:23
SwiftUI의 애니메이션은 UIKit보다 훨씬 간단하다. Animating state changes 직역해보면 물음표 짓게 만들지만 코드를 보면 이해가 된다. Adding animation Image(systemName: "chevron.up.square") .rotationEffect(.degrees(showDetails ? 0 : 180)) .animation(.default) 1, 2번 라인은 showDetails값에 따라 rotation을 업데이트한다. 즉 3번 라인이 없어도 무방하다. .animation(.default) 한 줄로 이미지가 회전하는 애니메이션이 생겼다. 0과 180을 오가는 애니메이션은 정방향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하지만 180대신 -180을 넣으면 반시계방향으..
-
Ch13. Drawing & Custom GraphicsRay Wenderlich/SwiftUI 2021. 2. 14. 18:18
Creating shapes SwiftUI은 드로잉 Structure를 제공하는데 그 중 가장 간단한 것이 Rectangle이다. Rectangle() 이렇게 하면 검은색으로 화면이 뒤덮일것 .frame(width: 200, height: 200) 이렇게 추가해주면 화면 가운데에 200x200의 검은 사각형이 생긴다. .environment(\.colorScheme, .dark) 컬러 스킴에 따라 다른 색의 사각형이 생기는 것도 확인 가능 .fill(Color.blue) 명시적으로 컬러 선택도 가능 Using gradients .fill( LinearGradient(gradient: .init(colors: [Color.green, Color.blue]), startPoint: .bottomLeading..
-
Ch12. Conditional ViewsRay Wenderlich/SwiftUI 2021. 2. 14. 18:15
Displaying a modal sheet SwiftUI가 @State 프로퍼티를 사용하여 Modal을 띄우는 방식엔 2가지가 있음 Bool을 사용하여 true일 때 띄우기 Optional을 사용하여 not nil일 때 띄우기 @State private var isPresented = false Button(action: { self.isPresented.toggle() }) { HStack { someViews() } .sheet(isPresented: $isPresented, onDismiss: { print("Modal dismissed. State now: \(self.isPresented)") }) { viewToPresent() } } Programmatically dismissing a m..
-
Ch6. Intro to controls: Text & ImageRay Wenderlich/SwiftUI 2021. 2. 7. 20:08
Ch6. Intro to controls: Text & Image Are modifiers efficient? Modifier는 새로운 view를 리턴한다. 정말 이게 최선일까? Modifier는 사용될 때마다 뷰를 전달받아 새로운 뷰를 만든다. Recursive한 동작이 일어나는 것이다. Modifier를 연속적으로 호출하면 뷰 안에 뷰 안에 뷰 안에 뷰가 있는 그런 구조다. 마트료시카 인형처럼 말이다 언뜻보면 자원낭비처럼 보인다. 하지만 SwiftUI는 이 Stack을 효율적인 자료구조를 통해 flatten하여 뷰를 렌더링하고 있다. 그러니까 modifier를 마음껏 써도 된다. Text("Welcome to Kuchi") .background(Color.red) .padding() Text("Wel..
-
Ch1. TDD란 무엇인가?Ray Wenderlich/TDD 2020. 10. 4. 21:53
Why use TDD? TDD는 소프트웨어가 잘 작동하고, 미래에도 계속 잘 작동 할 것을 보장해준다. 코드를 전부 작성한 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you could skip writing tests altogether and, instead, manually test your code 하지만 TDD가 이런 방법에 비해 갖는 장점은? 는 앱이 기대하는 바와 같이 동작하는 것을 보장한다. 모든 테스트가 는 아니다. 는 failable, repeatable, quick to run and maintainable 해야 한다. TDD는 아래와 같은 방법론을 통해 좋은 테스트 작성을 보장한다. 첫 번째는 failing test를 작성하는 것이다. 말 그대로, 이 과정은 테..
-
RxSwift - TableView, CollectionVIew를 사용해보자Ray Wenderlich/RxSwift 2020. 2. 29. 21:28
Ch.18 Table and CollectionViewsiOS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UI는 UITableView, UICollectionVIew를 통해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현하는 것이다. 보통은 delegate, dataSource의 콜백을 통해 데이터를 표현한다. RxSwift를 사용하면 observable sequence를 TableView, CollectionView에 표현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코드의 양도 줄일 수 있다. UITableView, UICollectionView의 간단한 사용은 RxCocoa에 이미 포함되어 있다. 좀 더 심화적인 내용(섹션관리, 애니메이션 등)은 RxDataSources(https://github.com/RxSwiftCommunity/RxDataSources)를..
-
RxSwift - retryWhen(_:)에 대해서 알아보자Ray Wenderlich/RxSwift 2020. 2. 20. 22:22
Ch14. Error Handling in Practice p.292 - 294RxSwift의 에러처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크게 2가지가 있다.1. Catch하여 처리하기2. Retry하기 (Retry해도 실패하면 Catch하던가) 1은 Swift와 유사하니 끄덕하고 넘어가자.2를 수행하기 위해 RxSwift에서는 retry() 오퍼레이터를 제공한다. retry를 시도하는 3가지의 메소드가 있다.func retry() -> RxSwift.Observable // 1 func retry(_ maxAttemptCount:) -> Observable // 2 func retryWhen(_ notificationHandler:) -> Observable // 3 1, 2번의 경우는 직관적이다. 에러가 발생..
-
RxSwift - amb(_:), switchLatest()에 대해서 알아보자Ray Wenderlich/RxSwift 2020. 2. 10. 22:02
Ch9. Combining operatiors p.191 - p.193RxSwift에는 "Switching" 오퍼레이터라고 불리는 2개의 주요 오퍼레이터가 있다.바로 amb(_:)와 switchLatest()다. 이 오퍼레이터들은 컴바인한 이벤트 또는 여러 시퀀스들 중에서 하나의 시퀀스로 Switch해준다.(원문: They both allow you to produce an observable sequence by switching between the events of the combined or source sequences.)이를 통해 우리는 런타임에 어떤 시퀀스를 사용할 지 결정할 수 있게 된다. amb(_:)amb는 ambiguous의 약자다. let left = PublishSubject()l..